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i3
- libvirt
- cloud-init
- k8s
- nfs-provisioner
- Arch
- ceph-ansible
- port open
- repository
- kolla
- golang
- yum
- KVM
- terraform
- Docker
- ceph
- awx
- OpenStack
- kolla-ansible
- Kubernetes
- cephadm
- Linux
- archlinux
- HTML
- pacman
- Ansible
- grafana-loki
- ubuntu
- Kubeflow
- Octavia
- Today
- Total
목록Kubernetes (4)
YJWANG
Kubernetes Control Plane Component의 Loglevel을 4정도로 맞추고 Pod 생성 / scale out / 등 동작할 때 어떻게 유기적으로 component 들이 동작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. 우선 아래 링크에 각 컴포넌트들에 대해 설명이 돼 있지만 좀 더 와닿게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입니다. 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concepts/overview/components/ 가장 간단하게 아래 항목들에 대해서 확인해보고자합니다. 각 컴포넌트의 LogLevel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만 조정하여 테스트한 것으로 Level에 따라 일부 로그가 누락되거나 확인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. Pod 생성 시 root@yjwang0-k8s-01:~# kubectl r..
ENV 우선 구성할 NFS 서버 정보를 확인합니다. (NFS ver 3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ver4 는 추가 Option을 진행할 필요가 없습니다.) NFS 서버 정보 x.x.x.x:/test vers:3 refer to https://github.com/kubernetes-sigs/nfs-subdir-external-provisioner /etc/kubernetes/manifests/kube-apiserver.yaml 수정 NFS-provisioner 사용 및 default storage class 바인딩을 위해 수정 # vi /etc/kubernetes/manifests/kube-apiserver.yaml (생략) spec: containers: - command: (생략) - --enable-ad..
Prerequisite Ceph Cluster Kubernetes Cluster Ceph와 Kubernetes가 Network으로 서로 통신이 가능해야합니다. Ceph RBD Provisioner 사용 refer to : https://docs.ceph.com/en/latest/rbd/rbd-kubernetes/ ceph node에서 실행 ceph rbd pool 생성 root@yjwang0-ceph-01:~# ceph osd pool create kubernetes pool 'kubernetes' created root@yjwang0-ceph-01:~# rbd pool init kubernetes ceph auth 생성 root@yjwang0-ceph-01:~# ceph auth get-..
ingress 구축이 처음이라면 아래 글 부터 따라하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제 글입니다..ㅎ https://yjwang.tistory.com/37 위 페이지의 구성이 돼있다는 전제 하에 진행할 예정입니다. 이번에는 ingress 자체를 분기하기 위해 nodeport가 아닌 Direct로 80 /443에 접근하기 위해 metallb를 사용해볼 예정입니다. 기존 구성대로 할 시 nodeport를 통하지 않고서는 통신되지 않습니다. 이는 controller 서비스가 독립된 network 내에 있어 접근이 불가능 하기 때문입니다. 자세한 설명은 위 링크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NodePort로 접속 [root@wyj05_deploy_0 ingress]# curl 10.95.90.20:31904/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