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ubuntu
- ceph-ansible
- Kubernetes
- yum
- pacman
- cloud-init
- i3
- k8s
- grafana-loki
- nfs-provisioner
- libvirt
- repository
- awx
- kolla-ansible
- Ansible
- Arch
- Linux
- Octavia
- Kubeflow
- archlinux
- ceph
- port open
- kolla
- HTML
- golang
- KVM
- OpenStack
- terraform
- cephadm
- Docker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nat64 (1)
YJWANG

만약 다음과 같이 Host A, Host B가 설정돼 있다면, 서로의 주소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두 서버는 서로 통신이 불가합니다. Host A : IPv6 only Server Host B : IPv4 only Server 위 상황에서 통신이 가능하게끔하기 위해 보통 IPv4 주소와 IPv6 주소를 서버에 같이 설정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IPv4 고갈에 대비하기 위한 설정이 아니기 때문에 목적에 부합하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. 또한 IPv4 위에 IPv6를 위치시켜 Tunnel 구성을 하는 방법도 있으나 Tunnel인터페이스를 거쳐 통신해야 하므로 요구사항에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'DNS64', 'NAT64' 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..
00.OS
2023. 10. 30. 15:4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