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KVM
- Linux
- grafana-loki
- Ansible
- Kubeflow
- HTML
- repository
- OpenStack
- Octavia
- kolla
- libvirt
- Kubernetes
- ubuntu
- terraform
- awx
- yum
- archlinux
- ceph
- kolla-ansible
- cloud-init
- nfs-provisioner
- k8s
- ceph-ansible
- pacman
- port open
- golang
- i3
- Arch
- cephadm
- Docker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189)
YJWANG
Terraform_yjwang_libvirt ENV - CentOS Linux release 8.2.2004 (Core) / kernel-4.18.0-193.14.2.el8_2.x86_64 - libvirtd (libvirt) 4.5.0 - Terraform v0.13.5 + provider registry.terraform.io/dmacvicar/libvirt v0.6.2GIT https://github.com/YoungjuWang/iaac/1 node에서 virtual network를 생성 후 해당 network를 할당한 vm을 생성하는 terraform이다. 해당 문서는 terraform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다는 가정 하에 기술됐다. 각 terraform 파일은 컴포넌트로 모듈로 구성돼있으며 ..
12버전에서 하던 것과 동일하게 하면 provider를 인식하지 못하는 에러가 발생한다. tf 파일에서 아래와 같이 provider와 버전을 명시해줄 뿐만 아니라 plugin을 아래 경로에 위치시키도록 한다. [root@cloud-test-6 terraform_yjwang]# libvirtd --version libvirtd (libvirt) 4.5.0==> envs/yjwang_201117_16_54/main.tf
Linux를 개인용 / 업무용 PC의 Main OS로 사용하고 있다. 기존의 Windows에서 느껴보지 못했던 자유로움과 불편함(?)에 매력을 느껴서 그렇게 사용하게 된 듯 하다. 우선 Linux로 쓰면 좋은 점과 나쁜 점 부터 기술하고 사용해본 배포판에 대한 내 생각을 기술하려한다. Linux를 Main OS로 쓰면 좋은 점 괜찮아 보이는 프로그램이 보이면 무료로 설치해서 사용해보고 마음에 안들면 지우면 된다. 사용하는 배포판 및 구성에 따라 저전력 소비로 Laptop의 더 많은 배터리 사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. ssh 접속 및 터미널을 local에서 별도 프로그램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. (key 교환도 간편) 무분별한 웹서핑 시 설치되는 알고 모를 많은 프로그램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..
Arch linux 기반의 배포판들은 pacman이라는 package manager를 사용해왔다. Manjaro에서는 pacman과 더불어 pamac이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설치되어있는데, 나는 이 pamac이 더 편해서 잘 사용하고 있다. 참고로 AUR은 Arch User Repository Archlinux에서 정식 repo가 아닌 사용자들이 git에 빌드될 수 있는 바이너리 파일을 올려놓고 AUR에 패키지를 등록해 놓는 방식이다. pacman에서는 AUR에서 패키지를 다운 불가능하고 별도로 git clone을 한 후 makepkg 명령으로 build를 해야 하는데 pamac은 pamac build 명령어로 AUR도 관리되니 여간 편할 수가 없다. 패키지 설치 # yum install # pam..

atom 설정내용 추가해야 함 패키지 설치 sudo pacman -Ss tilix sudo pacman -Sy firefox sudo pacman -Sy git sudo pacman -Sy flameshot sudo pacman -Ss ibus sudo pacman -Sy ibus ibus-hangul sudo pacman -Sy pulseaudio sudo pacman -Sy pa-applet sudo pacman -Sy pavucontrol sudo pacman -Sy manjaro-pulse pulseaudio systemd [yjwang@yjwang ~]$ systemctl cat pulseaudio # /etc/systemd/system/pulseaudio.service [Unit] Descri..
공식페이지_링크 ansible_port The ssh port number, if not 22 ansible_user The default ssh user name to use. ansible_ssh_pass The ssh password to use (never store this variable in plain text; always use a vault. See Variables and Vaults) ansible_ssh_private_key_file Private key file used by ssh. Useful if using multiple keys and you don’t want to use SSH agent. ansible_become Equivalent to ansible_sudo o..